도봉산(3)
-
서울둘레길 2.0 전구간을 마음대로 다녀본 후기
서울 둘레길을 시작한 것이 3년 전입니다. 포스팅을 시작한 것은 2년이 안 되었지만, 북한산 코스를 지나면서 눈에 보이는 코스 즉 겹치는 코스가 서울 코스라서 함께 염두에 둘 수 밖에는 없었던 거 같습니다. 그리고 마침내 마지막 코스를 지나면서 나름대로 정리를 해 보려고 합니다. 서울 둘레길은 작년 4월에 2.0으로 업그레이드 되었는데, 실제로 홈페이지 외에는 표지판 등이 변경되는 시점은 5월이 되어야 제대로 볼 수 있었습니다. 서울 둘레길이라고 해서 서울시만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지자체에서도 관리하는 경우도 많아 반영되는 시점이 늦어졌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. 포스팅이 서울 둘레길 2.0의 시작시점 전후를 거쳤기 때문에 시기적으로 덜 반영되고 코스 반영이 안 된 부분도 있었지만, 코스를 조금만 조..
2025.02.21 -
[북한산둘레길] 19코스 <방학동길> 무수골에서 정의공주묘까지 도보여행
이번 19코스 방학길은 길 스펙상 북한산 둘레길 17, 18코스와 동일한 3.1km 거리에 소요시간은 같다. 북한산 17, 18코스가 난이도 '하'인데 1시간 30분, 이번 19코스는 난이도 '중'인데 소요시간도 같다. 방학동길이라는 명칭에서 방학은 놓을 '방'에 새 이름인 '학'이 경합하여 만들어진 어원이라든지, 학이 알을 품고 있는 있다는 어원이라든지, 곡식을 찧는 방아가 있는 곳이라는 이름에서 한자화되는 과정에서 방학이 되었다는지에 대한 여러 의견들이 있다. 무수골이라는 유례는 앞 18코스 포스팅에서 언급하였는데, 여기에도 세종대왕과 연관이 되어 있어, 정의공주묘가 코스에 있다. 북한산 19코스의 대중교통은 근처 전철이 '방학역'이어서 정의공주묘에서든, 무수골에서는 30분 넘게 도보로 이동해야 한다..
2024.01.26 -
[북한산둘레길] 18코스 <도봉옛길> 다락원에서 무수골까지 도보여행
이번은 북한산 둘레길 18코스는 도봉옛길이다. 북한산 17코스에 비해 좀 더 자연과 근접할 수 있으며, 도봉산을 올라가기 위한 중심 관문이기 때문에, 대중교통도 도봉산역과 도봉역으로 접근성이 좋다. 18코스는 3.1km의 1시간 30분 코스로 공개되었는데, 실제 시간은 15-20분 줄일 수 있었다. 도봉이라는 지명은 도봉산에서 따왔는데, 성북구에서 분리가 되면서 도봉구라는 명칭을 쓰게 된 것으로 알고 있다. 여기에서 도봉옛길이라는 명칭이 나오는데 말 그대로라면 도봉산에 옛날 길이라는 셈인데, 현재의 쌍문동, 창동, 도봉동, 방학동을 남북으로 잇는 길이다. 이 길은 예전부터 한양에서 전국으로 나가는 간선도로 중 경흥대로라는 포천을 통과하는 도로가 있는데, 그 길 중 도봉을 거치는 길을 도봉옛길이라고 했고,..
2024.01.25